건선은 표피세포의 이상증식으로 인해 피부에 붉고 동그란 반점인 홍반이 형성되며, 그 홍반 위에 하얀색 인설이 반복하여 형성되는 만성적인 피부질환입니다.
건선이 발생하는 원인은 서양의학적으로 아직까지 확실하게 밝혀져 있지 않으나, 선천적인 요인, 스트레스, 과로, 음식, 외부기후 및 약물 등의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초기에는 좁쌀 같은 붉은 반점이 나타나다가 차츰 부위가 넓어지면서
건선 특유의 하얀 비늘 모양의 각질이 겹겹이 쌓이게 됩니다.
주로 자극이 많은 무릎이나 팔꿈치, 엉덩이, 머리 등에 발생하게 되며
방치할 경우에는 얼굴로 번지기도 합니다.
건선은 아토피와 더불어 대표적인 난치성 피부병으로 알려져 있으며
우리나라 전 인구 1~2% 내외의 높은 발병률을 가진 피부질환입니다.
게다가 한창 사회생활에 바쁜 20~30대에 호발하다 보니 초기에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고
만성적으로 경과가 지난 후에야 비로소 병원을 찾는 경우가 많습니다.
부모 건선에 따른 자녀 유병률 건선은 유전적 요인과 관련성은 있으나 100% 유전되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식생활, 주거 등 생활 속에서 공유하는 부분이 많기 때문에 비슷한 패턴의 질병을 가질 확률이 높아질 수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양쪽 부모 모두 건선이 있을 경우 건선이 생길 확률 50%
한쪽 부모에게서 건선이 있을 경우 건선이 생길 확률 15%
양쪽 부모 모두 건선이 없는 경우 건선이 생길 확률 7.5%
신체와 정신은 상호 긴밀한 영향을 주고받습니다.
분노, 짜증, 근심, 걱정, 놀람, 두려움, 긴장 등의 감정은 신체에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쳐 인체의 전반적인 순환을 방해합니다.
의학적 연구에 따르면 스트레스로 인한 건선의 발병은 30%~70% 정도 연관성이 있습니다.
과로는 인체의 기혈을 무리하게 소모합니다.
나태한 생활습관은 기혈의 순환을 저하시켜 기혈의 정체를 유발합니다.
이렇게 과로 혹은 나태한 생활습관으로 인한 기혈의 허약 및 정체는 인체의 전반적인 생리 기능을 저하시키고, 아울러 피부의 회복력과 면역력 또한 약화됩니다.
약은 우리가 일상적인 음식과는 달리 기운이 편중되어 있어 장기적으로 잘못 복용하게 되면 부작용 또한 심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조울증에 쓰이는 리튬(Lithium), 고혈압 및 심장병에 널리 쓰이는 베타차단제, 홍반성 낭창이나 경피증 등의 결체조직질환에 쓰이는 클로로콰인(Chloroquine), 염증반응 억제에 사용되는 인도메타신(Indomethacin)등이 건선을 유발 혹은 악화시킨다고 보도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여러 요인의 개별적인, 혹은 복합적인 문제로 인해 인체 내장기의 불균형이 초래되고 그 결과 피부의 생리적인 기능이 실조되어 비정상적인 각질층의 비후가 발생되는 것입니다.